이 영화는 바이러스를 이용한 잘못된 임상 실험으로부터 3년이 지나고, 지구에 혼자 남은 주인공의 좀비로 가득 찬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삶을 그립니다. 

좀비로 가득 찬 세상에 혼자 남겨지다

바이러스로 인해 좀비로 변하는 부작용에 의해 인류는 멸망합니다. 주인공인 ‘로버트 네빌‘은 바이러스로부터 살아남아 반려견 ‘샘‘과 지구상 유일한 생명체로 살아가고 있었습니다. 일몰 시간에 다다르는 순간부터 집 밖은 온통 좀비로 가득 찬 세상에서 그들은 살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바이러스로 국가 재난이 선포되던 그날, 과학자였던 네빌은 가족과 함께 좀비를 피해 달아나다 가족을 잃고, 그는 매일 그날의 악몽을 꿉니다. 그는 사실 바이러스에 유일한 면역체를 가진 존재였습니다. 그의 집 지하실에는 자신의 면역을 이용하여 감염된 쥐들을 실험하여 항체를 찾기 위한 실험실도 마련해 둡니다. 그는 식량을 구하기 위해 가게에 들러 사람이 아닌 마네킹에게 말을 걸기도 하며 혼자 살아가기 크고 외로운 세상에 조금이나마 위안을 삼아봅니다. 그는 매일 무전기를 통해 주파수를 맞추고 자신이 뉴욕의 유일한 생존자라는 방송을 하며, 해가 가장 높이 뜨는 시간에 부두에서 기다린다고 말합니다. 여느 때처럼 선착장에서 골프를 치던 그는 사슴 한 마리를 발견하고 샘과 함께 사냥을 합니다. 사슴을 쫓던 샘은 어느 어두운 건물로 들어가게 되고, 그 안에는 좀비가 가득합니다. 로버트는 자신에게 달려드는 좀비를 창문 밖으로 유인하여 샘을 구합니다. 좀비는 햇빛에 약한 존재이며 해를 보면 화상을 입으며 죽어가기 때문입니다. 집으로 돌아온 로버트는 효과를 보이는 백신의 임상실험을 위한 실험체를 구하기 위해 올가미 덫을 만듭니다. 자신의 피를 미끼로 삼아, 좀비가 가득한 건물 앞에서 좀비가 나타날 때까지 기다려 실험체를 잡아옵니다. 새로운 혈청을 주입하고 결과를 기다리지만 실패로 끝나고, 만일을 대비해 실험체를 실험실 안에 가둡니다. 다음 날, 네빌과 샘은 여느 때처럼 차를 타고 거리를 돌아다니고 있었는데, 있어서는 안 될 곳에 마네킹이 어떤 건물 앞에 서 있는 것을 보게 됩니다. 그리고 네빌은 덫에 걸리며 머리를 부딪혀 기절합니다. 점점 주위는 어두워지고, 네빌은 알람 소리에 깨어 탈출을 시도하지만 덫에서 떨어지면서 다리에 칼에 박히게 됩니다. 차로 이동하려던 네빌은 결국 좀비 바이러스에 감염된 개들에게 당하고, 네빌을 구하려다 샘은 좀비 개에게 물리고 맙니다. 유일한 친구였던 샘을 자신의 손으로 보내야 했던 네빌은 샘을 양지바른 곳에 묻어줍니다. 네빌은 그 후 죽음보다 더 큰 괴로움이 외로움이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됩니다. 샘의 복수를 위해 네빌은 좀비 소굴로 다시 찾아가 좀비들을 차로 치여 처리해버리려고 합니다. 하지만 차가 뒤집어져 버리며 좀비의 리더가 네빌을 공격하려는 순간 한 줄기의 빛이 그를 구해줍니다. 자신의 집에서 눈을 뜬 네빌은 한 여자와 그의 아들이 부엌에서 밥을 먹고 있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그를 구해준 여자는 '애나'로 네빌의 방송을 듣고 찾아왔다고 하며 생존자들이 있는 정착촌으로 간다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네빌은 생존자는 없다고 말하며 그녀의 말을 믿지 않습니다. 그때, 그전 날 그들을 미행했던 좀비들이 네빌의 집에 찾아오고, 순식간에 몰려든 좀비로 인해 지하실로 몸을 숨깁니다. 그들은 혈청을 주사한 실험체가 사람처럼 변하는 것을 보고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실험실까지 찾아온 좀비들은 그들을 공격하려 하고 네빌은 실험체의 피를 뽑아 백신을 만들라며 애나에게 건네고, 자신을 희생하여 그들을 구하려고 합니다.


두 가지의 해석을 가진 결말

자신이 실험했던 한 혈청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한 네빌은 자신을 희생하여 좀비들과 함께 폭파되어 애나와 그의 아들을 살렸다는 극장판 결말과, 자신의 동족이자 연인인 네빌이 데려가버렸던 실험체인 한 좀비를 구하기 위해 좀비의 우두머리가 그를 찾아와 그 여성을 데려가는 감독판 결말 두 가지가 있습니다. 극장판 결말에서는 애나가 그 치료제를 넘겨받고 정착촌으로 갔고, 네빌은 그렇게 전설이 됩니다. 감독판에서는 좀비들이 지성이 있고, 집단행동을 하며 인간으로서의 모습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네빌은 좀비의 우두머리에게 여성 감염자를 넘기며, 그동안 실험해 왔던 실험체들에 대해서 사과하는 모습이 나옵니다. 그렇게 목숨을 건진 그들이 정착촌으로 떠나면서 영화는 끝납니다. 

 

비하인드 스토리

영화는 뉴욕의 맨해튼을 배경으로 촬영되었으며, 맨해튼 도심지와 유명한 랜드마크들이 영화의 분위기를 구성하는 요소로 작용하였습니다. 좀비들의 모습들을 그려내기 위해서 다양한 시각적인 효과도 사용되었는데, 컴퓨터 그래픽 이미지를 통해 좀비들의 움직임이나 특수효과를 구현하였습니다. 주인공이 좀비들과 전투하는 장면은 철저한 준비와 연습을 거쳐서 제작되었으며, 스턴트 배우들이 협력하여 장면의 몰입감과 긴장감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했다고 합니다. 영화에서 좀비로 변신한 인물들의 메이크업과 특수효과 또한 사람들의 큰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주연 배우로 연기한 윌 스미스 또한 고립된 상황에서의 감정 표현과 심리적 변화를 통해 관객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러한 비하인드 스토리는 영화 제작 과정에서의 노력과 창의성을 보여줍니다.